쥬피터 노트북을 활용하는 간단한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1. Jupyter notebook 간단 활용하기

뭐든지 직접해보는게 가장 빠르고 체득하는데 도움이 되겠지만, 간단한 단축기와 활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전에 쥬피터 노트북을 설치한 후, 커맨드창에서 jupyter notebook을 실행하거나 

이와 같이 윈도우에서 검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사용할 수 있다.

 

쥬피터 창에 들어가면 위와 같은 UI를 확인 할 수 있는데, 설명은 위와 같다.

 

New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Python파일을 만들 수 있고, 각 종 탭에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Running에서는 현재 실행중인 노트북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이썬을 파일을 생성하면 아래와 같은 네모들이 생성 됨을 알 수 있다.

 

Command mode
Edit-mode

각 각의 네모는 쉘이라고 하여 스크립트를 입력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쥬피터 노트북에서는 2가지 모드를 지원하는데 하나는 쥬피터 노트북의 명령어들을 실행 가능하며, 쉘의 타입(마크다운, 스크립트 등)을 정할 수 있는 Command mode와 파이썬 스크립트를 입력할 수 있는 Edit-mode가 있다.

 

맨 처음 네모를 클릭하여 파란색일 경우는  Command mode, 초록색은 Edit-mode이다. Editmode에서는 esc를 누르면 command mode로 변경할 수 있다. 

 

간단한 쉘을 다루는 단축기를 알아보면, 

 

command mode에서는 b를 누르면 해당 쉘 아래에 새로운 쉘을 만들고, a를 누르면 해당 쉘 위에 새로운 쉘을 만든다. 

 

그리고 dd를 누르면 해당 쉘을 삭제하고 x를 누르면 해당 쉘을 잘라낸다. 

z를 누르면 이전 command mode의 명령을 되돌리기 해주는 기능이 있다.

 

또한 여러가지 명령어들이 있지만 그 내용들을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Edit-mode는 기본적으로 쉘에 커서를 띄우면 활성화되며, 이 곳에 파이썬 스크립트를 입력하면 일반 파이썬 에디터 혹은 파이썬 실행을 할때 쓰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보여준다.

 

실행을 원하는 쉘이 있다면 ctrl + enter를 눌러 해당 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엄청나게 많은 단축기들이 있지만 

 

command mode에서 h를 누르면 각 모드에서의 단축기와 해당 단축기의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쥬피터 노트북은 %xxx 명령어를 통해 쥬피터 노트북만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잇는데, 이는 %magic 기능을 사용하여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커맨드모드에서 M을 누르면 markdown 모드로 바뀌며 여기에 간단한 설명, 이미지등을 삽입할 수 있다.

 

맨 위가 Markdown 쉘이다.

해당 쉘은 아무런 스크립트적 기능이 없다.

 

이상으로 간단한 쥬피터 노트북 사용법을 마치도록하며, 가장 좋은것은 실제로 직접 해보는것이 좋다.

About the Author - 공공동

email: junman882@naver.com Korea, » Contact Me: 운영자메일주소




파이썬으로 연구를 진행하다보면 많은 에디터들을 사용하지만, 그 중 하나인 Jupyernotebook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한다.

 

에디터라고 봐야할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에디터의 기능을 함유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Jupyter notebook은 어떻게 설치, 실행해야 할까?

 

윈도우를 기준으로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1. Anaconda package 이용

2. pip install 이용

 

1. Anaconda package 이용

 

파이썬을 사용시 자주사용하고 인기 있는 여러 라이브러리를 모아놓은 패키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보통 파이썬을 처음 시작하면 가장 먼저 설치하는 패키지 이기도 하다.

 

아나콘다 홈페이지 에서 설치 가능하다.

 

 

Anaconda Python/R Distribution - Anaconda

The open-source Anaconda Distribution is the easiest way to perform Python/R data science and machine learning on Linux, Windows, and Mac OS X. With over 11 million users worldwide, it is the industry standard for developing,…

www.anaconda.com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영어이긴 하지만 어렵지 않게 설치 후 구성이 가능하다.

 

그 후, Anaconda prompt에서 'jupyter notebook'을 타이핑하면 사용이 가능하다.

2. pip install 사용

 

두번째로는 pip install 활용이다. 커맨드창의 명령어로 가능하며, Jupyter notebook 뿐만 아니라, 원하는 라이브러리를 발견하면 이 방법을 통해 설치가 가능하다.

 

명령어는 간단하다.

 

pip install jupyter

이렇게 해주면, 일반적으로 보통 바로 설치를 진행한다.

그러나 pip 버전이 너무 낮은경우에는 설치가 안될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pip버전을 업데이트 해야한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신중해야 하는게, 기존에 사용하던 라이브러리를 같이 업데이트 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부분에서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pip install --upgrade pip

이 방법을 통해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그 후, 커맨드 창에서 

jupyter notebook

을 입력하면 자신의 컴퓨터의 기본 브라우저에서 쥬피터 노트북이 생성됨을 확인 가능하다.

위 이미지는 쥬피터 노트북 스킨을 사용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그림과는 조금 다르다.

이런식으로 자신이 커맨드창에서의 해당 명령어를 입력한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쥬피터 노트북을 생성해준다.

 

그 후, 오른쪽 상단에 있는 New를 클릭해서 쥬피터 노트북을 생성할 수 있다.

 

'Computer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jupyter notebook 스킨 적용  (0) 2019.04.05
[Python]Jupyter notebook 활용  (0) 2019.04.05

About the Author - 공공동

email: junman882@naver.com Korea, » Contact Me: 운영자메일주소




X-win32는?

X-win 32는 윈도우 원격 리눅스/유닉스 시스템 연결 프로그램으로 유료 프로그램이다.

현재 윈도우 환경에서 서버를 사용 할 때,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서버를 사용할 때, 파일질라(Filezilla)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

파일질라를 통해 GUI환경에서 파일을 업로드/다운로드 혹은 디렉토리를 확인하고 직접 구동은 x-win을 통해 하는것이다.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starnet

위 링크를 통해 starnet 홈페이지의 xwin32부분에 접속한다.

그 후, 오른쪽 상단의 Buynow를 누르면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여기서 다른 내용보다 중요한 점은 Educational Type부분이다.


본인이 학생 혹은 교육기관에 종사한다면 해당 타입으로 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당부분 학생 할인을 받을 수 있다.


Educational 부분을 클릭하면


아래 Licence option 부분에 새로운 종류가 나오는데


본인이 학생이라면 4-year 라이센스를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른 별도의 인증은 없으니 이는 각자 알아서 잘 활용하면 될듯하다.


그러면 아래 Number of Licenses는 사라지고 next를 이용해 자신의 신상명세를 적는 페이지로 넘어가게 된다.


그 후, 위 명세를 전부 작성한 후 submit을 하게되면 결제 페이지로 넘어가게 된다.



그러면 위와 같은 주문창이 뜨면서 카드나 페이팔 그리고 비트코인을.. 이용해서 구입이 가능하다.


가격은 약 69 US$이다.


결제를 완료하면, 이전 페이지에서 입력한 이메일로 구입을 확인하는 이메일이 온다.


그러면 위와 같은 이메일을 통해 확인 이메일이 오고 추가로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는 메시지가 온다.


Starnet에서 학생 라이센스로 구입을 했기 때문에, 추후 학교 증빙 이런거를 요구할 수도 있다는 듯 하다.


그러나 주변에 구입한 다른 사람과 나 또한 추가 정보를 요구하는 내용은 오지 않았다.


이 후, 빠르면 당일 혹은 며칠 지나면 X-win32를 다운받을 수 있는 링크와 함께, 영수증, 라이센스키를 이메일로 전송해준다.


그 후, 이메일에 첨부된 링크로 들어가 다운로드 받은 후, 라이센스를 등록해주면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이 작동함을 알 수 있다.

x-win 을 실행한 다음 서버 호스트와 아이디/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하단 3번째의 Activate a new license를 눌러 이메일에 첨부된 라이센스 넘버를 입력하면 된다.



+확인 이메일이 온 후, 영수증과 다운로드 링크가 담긴 이메일이 1주일이 넘도록 오지 않는다면 Starnet에 따로 이메일을 요청하면 된다.

주변에, 이러한 내용으로 문의한 사람이 있었는데, 미안하다는 내용과 함께 깜빡했는지 그 후 다운 가능한 이메일을 전송해주었다.



'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윈도우 원격 리눅스 연결 프로그램 Mobaxterm  (0) 2021.04.03

About the Author - 공공동

email: junman882@naver.com Korea, » Contact Me: 운영자메일주소




1 ··· 5 6 7 8 9